본문 바로가기

경제학적 시선

끼어들기 얌체운전, 헛수고인 경제학적 이유

반응형
어제는 집에 오는 길에 차가 너무 막혔다. 고속도로는 아니고, 무슨 고속화 도로라고 해서 고속도로처럼 쭉 뚫린 길이었다. 라디오나 들으면서 빨리 집에 가고 싶은 마음을 대신 달래는데, 어느 한 승용차가 내 사이드미러에 들어왔다. 무슨 급한 일이 있는지 이리저리 차선 변경을 하더니 어느새 내 뒤에 바짝 붙은 것이었다.

 

나는 앞차도 천천히 가기에 나도 천천히 가면서 뒷 차를 유심히 지켜봤다. 아니나 다를까, 옆 차선의 차 간격이 벌어지자 또 오른쪽으로 휙 차선 변경을 한다. 그러더니 이제는 내 오른편에 나란히 달려간다. 사실, 달려간다기 보다 기어가고 있다는 표현이 맞지만, 그 사이 그 차는 또 내 앞으로 끼어 들려고 기회를 노리고 있다.

 

나는 이런 차를 보면 짜증보다 미소가 저절로 지어진다. 무슨 이유로 저렇게 성급하게 굴까, 운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최소한 성인이라는 뜻인데 어린 아이처럼 저렇게 안절부절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등등 나의 지루하고 무료한 운전에 새로운 지적 활력을 주기 때문이다. 또, 나는 종종 이런 차를 보면, 내 앞을 무조건 양보한다. 어차피, 얼마안가 또 다른 차선으로 옮기기 때문이다. 한가지 웃긴 것은 교통체증이 끝나고 속도를 내기 시작하면 어느새 이 차와 내 차의 간격은 별로 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어떻게 보면 그 운전자는 괜한 차선 변경을 함으로써 필요 없는 팔 운동만 실컷 한 셈이다.

 

◆차선변경이 헛수고인 경제학적 논리

 

통계학에서 파생되어 경제학과 심리학 용어로 많이 쓰이는 평균으로 회귀의 법칙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많은 자료를 토대로 결과를 예측할 때 그 결과 값이 평균으로 가까워지려는 경향을 갖는다는 뜻인데, 차선 변경이 헛수고인 이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우선, 교통체증이 일어나는 과정을 살펴보자. 앞의 병목구간에서 교통 체증이 일어나면 도로는 막히기 시작한다. 병목 구간에서부터 점점 뒤쪽으로 차선이 막히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한, 두 차선의 차들의 속도가 늦어지더니 곧 모든 차선의 차의 속도가 느려진다. 사람들은 속도가 느려진 차선을 피해 차가 없는 쪽으로 차선변경을 하게 된다. 잦은 차선 변경으로 모든 차선은 골고루 꽉 차서 결국 정체가 된다. 기어가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렇듯, 차선이 막히게 되는 과정은 사람들이 차들이 없는 차선으로 옮김으로써 생긴다. 예를 들어, 4차선 도로인데 두 개 차선이 막히기 시작하면, 막힌 차선 뒤에 멀쩡히 서 있을 운전자는 없다. 당연히 차선을 바꿔 속도를 내려고 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막힌 차선을 피해 달리던 차도 얼마안가 속도가 줄어들더니 막힌 차선처럼 꽉 막혔다. 결국, 다 같이 기어가는 것이다.

 

평균회귀의 법칙은 바로 그 속도의 변화에 적용할 수 있다. 차가 막힐 경우 그 속도는 거의 제로에 가깝게 되는데, 이는 그 도로에 있는 다른 모든 차들도 마찬가지다. 결국, 도로 전체 자동차의 평균 속도와 개별 차의 속도가 비슷해지는 것이다.

 

, 위에서 언급한 두 차선이 막혔다는 예를 봐도 마찬가지다. 막힌 차선을 이리저리 피해 달리다 보면 자신이 빨리 달린 만큼 다른 차들은 달리지 못한다. , 차선을 자주 변경하는 차의 속도의 증가와 그가 끼어듦으로써 다른 차가 움직이지 못해 생기는 속도의 감소가 합쳐져 결국 같은 도로를 이용하는 전체 도로 이용자의 속도가 평균을 이루는 것이다. , 이들이 앞서나간 만큼 다른 차들이 속도를 내지 못해 결국 다른 모든 차와의 평균 속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이 차선을 자주 변경하여 속도를 낸다고 해서 다른 운전자들보다 빨리 간다는 뜻은 아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다른 차들도 모두 빨리 가기를 원하고, 기회만 있으면 차선을 바꿔 속도를 내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사람들이 모두 바쁘다고 가정하면, 여유가 있던 그 차선도 얼마안가 여유가 사라진다. 모든 차가 여유가 있던 차선으로 옮길 것이고 이렇게 한 차선으로 몰리면 그 차선 또한 몰린 차들에 의해 순식간에 막히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두에서 말했듯이, 아무리 차선을 이리저리 바꿔 가도 그렇지 않은 운전자보다 월등히 빠르지 않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런 경제학적 논리를 다 떠나 차선을 자주 바꾸면 사고의 위험이 더욱 높으니, 아무리 급하더라도 막힐 때 차선을 유지해 가는 편이 어떻게 보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은 로그인 없이도 가능해요.
아래 손가락 View On 한번 눌러 주시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