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증권

주식 배당금 받는 방법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에그2 2017. 12. 21. 12:11
반응형

주식 투자하곤 있지만 아직 주식 배당금 받는법에 대해 모르는 분들이 있으시더라구요.

그런 분들을 위해 주식 배당금 그리고 받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쉽게 한번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도 잘 이해가 안되신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우선 주식 배당금은 주주에게 기업이 수익의 일부를 주는 것입니다.

기업은 수익이 나면 두가지를 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투자, 또 하는 배당입니다.

투자는 미래 기업의 더 큰 이익을 위해 하는 것이구요.

배당은 주주들에게 이제까지 투자한 것에 대한 수익을 분배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배당을 한다는 것은 기업이 최소한 수익을 내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수익이 없다면 배당을 할 돈이 없기 때문이죠.

만약 수익을 나고 있는 기업의 주식을 가지고 있다면 배당금이 얼마인지 확인해보세요.

가장 쉬운 것은 그 이전에 배당을 한 적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입니다.

만약 꾸준히 해왔다면 올해도 할 가능성이 높죠.


그렇지만, 배당은 기업의 자율입니다.

수익이 났음에도 불구하고 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죠.

위에서 말한 투자 명목으로 배당을 안할 수 있는 것입니다.





주식 배당금 설명은 여기까지 하구요.

그러면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요?


배당은 주식을 소유한 사람에게 주는 것인데요.

만약 오늘 주식을 사서 오늘 팔았다고 하면, 그것은 또 형평성에 맞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3개월 이상 보유한 사람에게 준다는 식의 방식도 뭔가 비합리적이구요.

그래서 배당을 줄 때 특정 시점을 정해두었습니다.

최소 이 시점에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배당을 줘야 한다고 말이죠.

이것이 배당기준일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배당기준일은 언제일까요?

보통 연말 결산이라고 할 때 12월 31일에 결산 마감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주식 매매는 3일 결제 시스템이기에 최소 영업일 3일전에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

그런데 12월 31일은 무조건 휴장입니다. 평일에도 쉬는 날이 되죠.

그래서 최소 30일날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기에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26일 안에는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




이말은 즉 1년 동안 가지고 주식을 가지고 있다가 12월 24일날 주식을 팔면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그냥 24일날 주식을 사더라도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배당기준일의 특징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현금배당, 주식배당 그리고 배당락 등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이니 주식 배당금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